Go, Vantage point
가까운 곳을 걷지 않고 서는 먼 곳을 갈 수 없다.
Github | https://github.com/overnew/
Blog | https://everenew.tistory.com/
티스토리 뷰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에라토스테네스의 체(Sieve of Eratosthenes)"는 3세기의 그리스 수학자 에라토스테네스가 정리한 소수를 찾는 방법이다.
n이하의 자연수에서 소수의 배수를 차례대로 소거하여 최종적으로 n이 남아있다면 n은 소수임을 알아낼 수 있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구현에는 해당 수가 소수인지 아닌지만 저장하는 bool형의 자료구조가 필요하며, 아래 두 가지의 최적화를 거친다.
1. n이 인수가 있다면 인수는 √n 이하의 수와 그 이상의 수의 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n의 수까지만 확인해도 판정이 가능하다.
2. i의 배수를 지울때는 i*i이하의 값들은 이미 i이하의 값의 배수(ex. i*3, i*4, i*5 ... i*(i-1) 는 이미 소거)이므로 i*i이상의 값부터 소거하면 된다.
소인수 분해 알고리즘
이제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빠른 소인수 분해 알고리즘을 알아보자.
해당 알고리즘은 n의 가장 작은 소인수만을 min_factor[n]에 저장하여 소인수 분해를 구현한다.
모든 수에대하여 min_factor를 구했다면 n이 1이 될 때까지 min_factor[n]로 나누어준 값들의 min_factor들이 n의 소인수를 구성한다.
ex. 28(min_factor =2) -> 14(min_factor =2) -> 7(min_factor =7) -> 1(종료)
2 x 2 x 7 = 28
'알고리즘 공부 > 알고리즘 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단선과 절단점] Articulation point, Bridge (Cut vertex, cut edge) (0) | 2021.03.14 |
---|---|
[임계 경로 알고리즘] Critical Path Method (백준-1948 해설) (0) | 2021.03.09 |
[Union-Find] 유니온-파인드, 분리 집합 (백준 1717 - 집합의 표현 해설) (1) | 2021.02.28 |
[Fenwick Tree Lazy propagation] - 펜윅 트리에 Lazy propagation 적용하기 (1) | 2021.02.27 |
[자료구조] 트립(Treap) 구현 (376) | 2021.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