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Vantage point
가까운 곳을 걷지 않고 서는 먼 곳을 갈 수 없다.
Github | https://github.com/overnew/
Blog | https://everenew.tistory.com/

윈도우에서 kafka를 실행하려면, ZooKeeper를 먼저 동작해야 한다.왜 그런 작업이 필요한지 알아보자. Zookper란?kafka는 분산 시스템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관리를 해줄 코디네이션 서비스가 필요하다. 분산 시스템은 서버 간의 정보 공유, 서버 상태 체크, 데이터 락 등의 기능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Zookeeper는 분산 코디네이션 서비스로 Kafka와 같은 분산 솔루션에 사용된다. 이전 글을 참조해보면 알 수 있지만, 분산 시스템은 가용성을 챙긴 만큼 단점이 존재한다.https://everenew.tistory.com/483 (알림 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분산 시스템의 trade-off (두 장군 문제)알림 서비스가 분산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유 애플리케이션으로 알림을 보내는 대표적인..

빌드란?소스코드를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파일로 만드는 과정을 의미한다.이 과정에서는 소스코드의 컴파일과 실행 관련 파일을 패키징하여 배포 가능한 형태로 만든다. 빌드 도구빌드 과정을 자동화해주는 소프트웨어로 대표적인 빌드 도구가 Maven과 Gradle이다.이 도구들은 의존 라이브러리들을 대신 다운로드 해주고 컴파일/테스트/빌드의 과정을 진행해 준다.Maven과 Gradle을 알아보기 전에 이전에 사용되던 빌드 도구도 같이 알아보자. MakeUNIX 계절에서 사용되는 원조 빌드 툴이다.Makefile을 통해 빌드 작업을 통일된 구조로 제공하며 C언어 빌드에는 아직도 활용된다. ANTJava의 등장으로 C언어 위주의 빌드 툴인 Make를 대체하기 위해 등장했다.간단하기 때문에 사용에는 쉽지만,..

Gitlab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비슷해보이는 Github과 도대체 어떻게 다른지가 중요했다. 둘이 비슷한 네이밍을 가지길래 같은 회사의 서비스인 줄 알았지만, 사실 Git라는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다른 서비스들이다. Git이란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소스코드 파일들을 복사,백업,저장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많은 프로젝트 인원들이 함께 같은 파일을 작업할 수 있다. 자세한 기능과 원리는 inpa님의 게시글을 참조하자.https://inpa.tistory.com/entry/GIT-%E2%9A%A1%EF%B8%8F-%EA%B0%9C%EB%85%90-%EC%9B%90%EB%A6%AC-%EC%89%BD%EA%B2%8C%EC%9D%B4%ED%95%B4#git_%EC%9D%B4%EB%9E%80_..

알림 서비스가 분산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유 애플리케이션으로 알림을 보내는 대표적인 서비스는 FCM(andriod)과 ARNs(IOS)이 있다.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이메일이나 slack 메시지 등 알림 서비스는 다양한 매체에 적용된다. 이러한 알림 서비스에서는 가장 중요한 것이 알림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는 것이다.만약 단일 시스템을 사용한다면 single point of failure(단일 장애지점)이 되기 때문에 리스크가 크다.따라서 메시지를 보내는 앞단에 메시지 큐(Apache Kafka, RabbitMQ 등)를 적용하게 된다. 이러한 메시지 큐들도 결국 단일 장애지점을 피하기 위해 분산 시스템이 사용된다. 분산시스템의 Trade-off 그런데 여러 서버를 배치하는 분산 시스템에서는 정확히 한..

커스텀 명령어리눅스 쉘에 커스텀 명령어를 만들어보자. 리눅스 명령어에는 타입이 존재한다. 위와 같이 type 명령어를 통해서 명령어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cd와 같이 기본적인 셀 자체 내장의 명령어는 shell builtin으로으로 출력되지만외부 명령어인 mv, cp는 명령어 파일이 저장된 위치가 출력된다. 명령어 파일의 디렉터리모든 것이 파일인 리눅스에서는 명령어도 결국 파일로 이루어진다. 파일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경로와 이름을 사용해서 실행한다.Ex) ./myfile 하지만 환경 변수인 PATH에 경로 정보를 등록하면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경로를 생략할 수 있다.따라서 경로 지정이 명령어 실행 시 현재 폴더에 해당 파일이 없다면, PATH에 등록된 정보를 통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인지 확인하..

URL 링크 단축이란? 아래와 같이 긴 URL은 공유 시, 텍스트 크기가 굉장히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https://www.google.com/search?q=%EB%A7%81%ED%81%AC+%EB%8B%A8%EC%B6%95&oq=%EB%A7%81%ED%81%AC+%EB%8B%A8%EC%B6%95&gs_lcrp=EgZjaHJvbWUyBggAEEUYOTIGCAEQRRg90gEINzcxNmowajGoAgCwAgE&sourceid=chrome&ie=UTF-8 🔎 링크 단축: Google 검색 www.google.com 이런 URL은 메시지나 SNS 공유를 위해 사용하기에는 불편하고 보기도 좋지 않다.이를 위해 최근에는 아래와 같이 같은 링크를 단축된 길이의 URL로 변환해서 공유를 하는 경우가 많다. ..
리눅스 계열의 OS를 사용하면 apt, yum, dnf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해 패키지를 다운로드한다.이때 각 명령어가 어떻게 다른지 확인해 보자. 리눅스 배포판일단 리눅스는 각 배포판에 따라서 사용되는 패키지 다운/설치 명령어가 다르다.대표적으로는 데비안 계열과 레드헷 계열이 있다. 1. 데비안 계열의 경우데비안 계열의 대표적인 OS가 바로 Ubuntu이다.Ubuntu에서는 .deb 형식의 컴파일된 바이너리 패키지 포맷을 사용한다. dpkg이 .deb 형식의 데비안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 dpkg이다.dpkg는 .deb 패키지의 설치, 삭제,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저레벨 도구이다. 문제는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패키지들은 다른 기본 패키지들에게 의존성을 가진다는 것이다.dpkg로 패키..
Hypervisor의 OverCommit가상화의 핵심인 하이퍼바이저는 자원을 극한으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OverCommit 기능을 사용한다. VM들이 모두 같은 자원량을 나누어 사용한다고 가정해 보자.이 기능을 사용하면, 하이퍼바이저가 물리 호스트의 자원을 정확히 VM 개수만큼 N등분하지 않고 N개 이상의 VM을 동작시킨다. 사실 모든 VM이 자원을 100% 활용하지 않기 때문에, AWS와 같은 CSP 입장에서는 자원을 1:1 크기로 예약해 두면 유휴 자원이 발생한다. 이러한 자원 낭비를 막고자 물리적인 컴퓨팅 자원보다 VM들에게 더 많은 CPU와 메모리를 프로비저닝 하게 된다. 이를 Overcommit이라고 한다. CPU overcommitCPU overcommit은 CPU 자원을 물..

3Tier 기본적으로 3Tier는 Presentation, Application 그리고 Data Tier로 나뉜다.여기서 웹서비스라면 Presentation Tier는 Web server로, Application Tier는 WAS(Web Application Server)로 대표된다. Data Tier는 주로 RDBS처럼, 웹 개발 중에 자연스럽게 분리되는데 문제는 Web server와 WAS이다.검색하는 여러 장점이 있더라도 Web server와 WAS를 굳이 다른 서버로 분리할 필요가 있을까?WAS의 Nginx나 Apache가 Web server의 역할도 수행해도 문제가 없어 보이기도 한다. 실제로 PHP의 대표적인 웹 서비스 오픈소스인 워드 프레스는 web server와 WAS가 하나로 합쳐..
SQL (Structed Query Language) 구조화된 질의 언어 -ANSI SQL 표준은 널리 사용되는 모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엔진에서 지원되며, 이러한 엔진들 중 일부는 해당 엔진의 특정한 기능들을 지원하기 위해 ANSI SQL을 확장 - SQL은 데이터의 행을 추가, 업데이트 또는 삭제 트랜잭션 처리 및 분석,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의 하위 집합을 검색하며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자원을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1. DDL 데이터 정의 GREATE: schema, Domain, TAble, view, index를 정의 Alter: Table에 대한 정의를 변경 Drop: schema, Domain, TAble, view, index를 삭제 2. DML 데이터 조작 select: 테이블에서 조건에 ..